눈으로 봐도 예쁜 불꽃사진 멋지게 촬영하는 팁
사진을 취미로 시작한지 20여년이 되다보니 자연스레 사진 이야기를 나누는 만남이 많아집니다. 돌이켜보면 어느 장르든 쉬운 장르는 없습니다. 그 중에 불꽃사진에 대한 질문을 더러 받게 됩니다. 누구나 불꽃사진 혹은 비슷한 야경사진을 찍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대부분 불꽃은 하얗게 날라 가고 주변은 어둡게 찍혀서 마음에 들지 않았을 것입니다. 불꽃사진은 먼 곳에서 관망하면서 담아야 하지만 접사촬영 못지않은 디테일을 요구하기에 순간순간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합니다. 아름다운 불꽃사진을 얻기 위한 몇 가지 유용한 팁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최적의 촬영장소를 선정하기 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불꽃사진은 어두운 배경에서 밝은 불꽃을 포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변에 빛 공해가 없어야 하고 불꽃놀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메라, 렌즈(광각 또는 망원), 삼각대, 릴리즈(또는 유⋅무선 리모컨) 등 필요한 장비를 미리 준비합니다.
둘째. 셔터 속도, 조리개, ISO 감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수동 모드(M 모드)로 설정합니다. 불꽃의 궤적을 길게 표현하고 싶다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예: 2~5초) 설정하고, 불꽃의 순간적인 모습을 담고 싶다면 셔터 속도를 빠르게(예: 1/60초) 설정합니다. 조리개 수치가 낮을수록(개방) 빛을 많이 받아들여 밝은 불꽃 사진을 얻을 수 있지만, 심도(초점이 맞는 범위)가 얕아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조리개 수치를 높이면(조임) 심도가 깊어져 불꽃 전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빛을 적게 받아들여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F8~F16 정도의 중간값을 권합니다.
ISO 감도는 낮을수록 노이즈가 적은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빛이 부족해 사진이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ISO는 상황에 따라 100~200 정도의 적절한 값을 설정하되, 결과를 확인하면서 조절합니다. 이때 반드시 초점은 수동(MF) 모드로 전환하고, 불꽃놀이 시작 전에 미리 위치에 맞는 초점을 맞춰놓아야 합니다. 화이트 밸런스는 자동(AWB)도 좋고 야경모드로 설정해도 괜찮습니다. 간혹 RAW로 찍어야 하느냐 묻는 분들이 많은데 요즘은 JPEG 파일도 화질이 좋아 큰 문제는 없지만 RAW 파일 형식으로 촬영하면 디테일한 후보정 작업에 유리합니다. 저는 지인들과 소통하는 SNS에는 손쉽게 JPEG로 보정한 사진을 올리지만, 전시회 참여나 액자 등 중요한 작품을 위해 JPEG와 RAW를 함께 찍는 편입니다.
셋째. 흔들림 없는 선명한 사진을 위해 반드시 삼각대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셔터 버튼을 누를 때 미세한 흔들림조차 방지하기 위해 릴리즈(또는 유⋅무선 리모컨)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마치면 이후, 불꽃이 터지는 순간을 예측하면서 셔터를 누르되, 독특한 느낌의 사진을 얻기 위해 다양한 앵글로 촬영할 것을 권합니다. 이때 불꽃만 크게 담기보다는 주변 풍경이나 건축물, 반영을 배경으로 넣으면 더 멋진 사진을 담을 수 있으며, 바람이 부는 날에는 폭죽의 연기가 많아질 수 있으니 바람의 방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정도만 이해해도 불꽃사진을 찍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추가로 팁을 더 드리자면, 연사 모드를 활용해 연속으로 촬영하면 불꽃의 다양한 모습을 담기가 수월합니다. 또한, ND필터나 야경 필터를 사용하면 더 멋진 불꽃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트룸, 포토샵 등 사진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색감, 밝기, 대비 등을 조절하면 더 완성도 높은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촬영 현장에서 한 가지 더 중요한 것은 바로 행사장의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입니다. 사진을 찍는 행위가 주변의 피해를 줘도 괜찮은 활동은 절대 아닙니다. 촬영 중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진행하시기 바라며, 이 팁을 참고해 멋진 불꽃사진을 찍어보시길 응원합니다.
정나연(서울인뉴스 주필)
2021 호로고루 전국노을사진공모전 대상
2023 제8회 아름다운 우리아파트사진공모전 대상(국토교통부 장관상)
2023 제4회 인천국제해양포럼 바다사진공모전 최우수상
2024 제8회 평택국제사진전 참여작가
2024 보성관광사진 전국공모전 은상
2024 제9회 대한민국사진축전 참여작가